개요
역사
연맹
경기대회 [국내] 봄철 요트 경기대회, 여름철 요트 경기대회, 전국 요트 경기대회, 전국 요트 선수권 대회.
용 어 |
가이(Guy) - 당기는 밧줄. 메인·세일(Main sail) - 주범을 말한다.
세이프 리워어드 포지션 (Safe leeward position) : 바람을 바로 옆, 앞쪽에서 받는 코스에서 2정이 장주 접근해서 달리고 있을 때 풍하의 배가 풍상의 배의 조금 앞에 있으면 풍하의 배는 절대로 풍상의 배에 추월당하는 일이 없다. 이와 같은 풍하의 배의 위치에 있음을 말한다.
세일(Sail) : 돛을 말하며, 지브세일, 메이세일 미즌세일등이 있다.
세일넘버(Sail number) : 요트가 세일 마크의 클라스 협회에 소속되어 공인된 요트라는 것을 표시하는 공인 번호를 말한다.
세일 마크(Sail mark) : 어떤 클라스의 요트인가를 명시하는 마크로서 돛에 표시되어 있다.
세퍼레이션(Separation) :세일의 리이 사이드로부터 분리되는 공기의 흐름을 말한다.
센터보드(Centerboard) : 요트가 옆으로 흐르는 것을 방지하는 판을 말하며, 선체의 키일을 관통하여 수중에 내리거나 올리거나 할 수 있다.
센터보드 트렁크(Centerboard trunk) : 센터보드를 끌어올려 놓는 경우 그것을 넣는 케이스를 말한다.
소울링 급(Soling) : 3인승 키일 보트로서 덴마크인이 설계하였다.
스나이프급(Snipe) :1931년에 미국에서 제작된 V자형의 바닥을 이룬 요트로서 전장 4.72m, 폭1.52m의 2인승 센터보드 정이다.
스케그(Skeg) : 용골 후단에 붙어 있는 삼각형의 돌출부.
스퀘어 세일(Square sail) :4각형의 돛을 말한다.
스키퍼(Skipper) : 일반적으로 선장이라는 의미이지만, 소형 요트에서는 조타수를 가리키는 수가 많다.
스타 급(Star) :1911년에 미국에서 제작된 요트로서 전장 6.91m, 폭1.73m의 2인승 요트. 지금까지는 올림픽 경기정으로 사용되어 왔다.
스타 보드(Starboard) : 참조-우현
스타보드 태크(Starboard tack) : 세일이 우현에서 바람을 받고 있는 상태를 말한다.
스타보드 핸드(Starboard hand) : 스타보드가 태크로 회항하는 것. 시계방향으로 회전하는 것.
스타트(Start) : 요트 레이스에서 각 요트에 스타트 위치를 택하게 하고, 스타트의 신호에 의해서 레이슬 시작한다.
스터빌리티(Stability) : 복원력, 안정성을 말하며, 이것이 크면 클수록 요트는 큰 돛을 펼 수 있고 빠른 스피드를 낼 수 있다.
스턴(Stern) : 선미를 말한다.
스르레더(Spreader) : 시라우드를 지탱하기 위해서 마스트로부터 붙여낸 지주를 말한다.
슬랙(Slack) : 줄을 늦추거나 풀어 주는 것.
시라우드(Shroud) : 마스트의 윗 부분으로부터 배의 옆 방향으로 갑판에 장치되어 있는 와이어로 일종의 스테이이다.(상부 시라우드-Upper shroud, 하부 시라우드-Low shroud)
시버(Shiver) : 돛이 펄럭펄럭 흔들리므로 배에 전진하는 힘이 가해지지 않는 돛의 상태를 말한다.
시 이(CE) : Center of effect의 약어로서 세일에 받는 모든 힘이 작용하는 점. 즉, 풍압의 중심을 말한다.
시트(Sheet) : 세일 트림을 조절하기 위한 로프를 말하며, 메인세일을 조절하는 로프를 「메인 시트」, 지브 세일을 조절하는 로프를 「지브 시트」라고 부른다.
시트 트래블러(Sheet traveler) : 메인 세일을 당기는 메인 시트의 블록을 설치하는 부분을 말한다.
시이 호스(Sea horse) : 2매로 된 돛(지브 세일, 메인 세일)의 전장 5m의 소형정을 말한다.
시프니커(Spinnaker) : 달리 때 지브 세일의 전방에 치는 반구형의 돛을 말한다.
앵커(Anchor) : 닻을 말한다.
어백(Aback) : 바람에 의해 뒤로 밀리는 세일. 그래서 요트의 전진 운동을 느리게 한다. 예를 들면 풍상으로 잘못 트림된 지브.
어비임(Abeam) : 배의 바로 옆 쪽을 가리킨다.
어스터언(Astern) : 후방으로, 선미로.
어패펀트 윈드(Apparant wind) : 순풍과 요트의 속도에 의해 생긴 바람이 합성된 것. 즉, 요트가 느끼는 바람이나 요트가 범주하는 것으로 인한 바람.
FD급(Flying Dutchman) : 플라잉 터치맨 급의 약칭으로 1952년 네덜란드인에 의해서 설계되고, 로마 올림픽부터 채용되고 있는 비교적 새로운 요트를 말한다.
오버랩(Overlap) : 2척이 병행하는 것, 또는 세일에 있어서 메인 세일의 러프 뒤에 제노아나 지브의 푸트의 확장을 말한다.
오션 레이스(Ocean race) : 보통의 레이스는 해상 등에 마크를 설치해서 그 마크를 회항하여 레이슬 하지만 만, 해협, 대양 등을 건너서 행하는 레이스를 말하며, 주로 크루우저를 사용해서 행한다.
와일드 자이브(Wild gybe) : 참조-자이브
요트 하아버(Yacht harbour) : 요트만을 안전하게 보관하는 설비를 갖춘 항구.
요팅(Yachting) : 요트를 달리는 것. 요트를 즐기는 것.
우현 : 뱃머리를 향해 우측의 뱃전.「스타보드」라고도 한다.
원 디자인(One design) : 참조- 모노타이프
웨더(Weather) : 풍상.「윈드 워어드」라고도 한다.
웨더 사이드(Weather side) : 풍상측을 말한다.
웨더 헬름(Weather helm) : 바람에 대해 요트의 코스를 유지하기 위하여 풍상으로 틸터를 잡아 당겨야 하는 불균형 헬름으로 틸터를 센터 라인에 두었을 때 풍상으로 경기자가 움직이려고 하는 상태를 말한다.
웨어링(Wearing) : 배의 후미를 풍상에 향하면서 바람을 받는 뱃전을 바꾸는 것.
위스커 폴(Whisker pole) : 러닝을 할 때 지브 세일을 세우기 위한 봉(막대).
윈드 그레이디언트(Wind gradient) : 수면에서의 높이 차이로 오는 바람, 속도의 변화.
윈드 어비임(Wind abeam) : 바람의 방향에 대해서 요트를 90도 방향으로 전진시키는 상태를 말하며 단순히 「어비임」이라고 하는 수도 있다.
윈드 워드(Wind ward) : 참조-웨더
윈치(Winch) : 시트나 로프를 당기기 위하여 사용하는 기계.
이즈(Ease) : 시트나 핼려드를 늦추는 것을 말한다.
1분 룰(Rule) : 여러 번 제너럴 리콜을 해도 잘 스타트되지 않을 때 스타트 시각 1분 전에 한하여 스타트 라인을 넘거나, 스타트 선에 닿거나 하면 실격으로 하는 룰을 말한다.
자이브(Gybe) : 러닝시 바람을 받는 뱃전이 바뀌었을 때 부움이 지금까지 있었던 쪽에서 반대 쪽으로 이동하는 것.
전장 : 선체의 길이를 말하며 LOA로 표시된다.
제너럴 리콜(General recall) : 리콜되는 배가 많고, 그러한 배를 확인할 수 없을 때 재차 스타트를 하는 것을 말한다.
제노아 지브(Genoa jib) : 미풍 때에 사용하는 약간 큰 지브를 말한다.
좌현 : 뱃머리를 향해서 좌측의 뱃전을 말한다.
지브 세일(Jib sail) : 마스트 전방에 장치되는 3각형의 돛을 말한다.
지브 시트(Jib sheet) : 지브를 펴는 것을 조절하기 위하여 사용하는 시트.
지브 시트 리드(Jib sheet lead) : 갑판상에 고정 부탁되어 있는 기구로 지브 시트를 끌어 당기는 장치.
지빙(Jibbing) : 요트가 바람을 뒤에서 받아 범주하는 동안 세일을 좌현에서 우현 또는 그 반대로 옮기는 것.
채점 : 올림픽 요트 경기의 채점은 1위에서 0점을 부여하는 방식으로 한다. 1위 0점, 2위 3점, 3위 5.7점, 4위 8점, 5위 10점, 6위 11.7점, 7위 13점, 8위 순위+6점.
720도 턴의 벌칙 : 요트 경기에서 위반하였을 때는 실격이 되어 왔으나, 실격 대신에 레이스 중의 위반을 인정한 요트는 그 자리에서 2회전 하면 실격을 모면할 수 있다는 규칙을 말한다.
커런트 미터(Current meter) : 유속게, 조류계.
콕피트(Cock-pit) : 좌석을 말하며, 딩기(Dinghy)에서는 데크에 앉기 때문에 발을 내려놓는 곳을 가리킨다.
쿼터(Quarter) : 윈드 어비임(Wind abeam)으로 달리고 있을 때 보다 다소 틸러(Tiller)를 잡아당긴 상태로 하고 풍하로 비스듬히 달리게 하는 것을 말한다.
크루(Crew) : 스키퍼(선장)이외의 승무원을 말한다.
크루저(Cruiser) : 순항을 즐기는 것을 목적으로 베드, 주방, 식당, 화장실, 샤워 등도 완비한 행락용의 요트를 말한다.
클로스 홀드(Close hauled) : 윈드 어비임의 상태에서 부움을 키의 중앙으로 끌어당기고 동시에 키로 요트를 풍상 방향으로 하여 돛이 시버하는 바로 앞의 상태로 달리게 하는 것.
클루우(Clew) : 세일의 끝에 세일을 묶을 수 있게 붙어 있는 고리나 구멍이 있는 세일의 모서리 부분.
클리어 어스턴(Clear astern) : 경주하고 있는 2정 중 앞서가는 요트의 선미에서의 연장선 내에 뒤의 요트가 들어와 있지 않은 경우, 뒤의 요트의 위치를 가리켜서 말한다.
클리어 어헤드(Clear ahead) : 클리어 어스턴과는 반대로 경주하고 있는 2정 중 선행하고 있는 요트가 뒤따르는 요트와 오버랩하지 않은 위치에 있음을 말한다.
클리이트(Cleat) : 시트나 핼려드를 묶는 의장품.
키일(Keel) : 용골. 주로 목선에서 볼 수 있는 것으로 배의 맨 밑바닥에 세로로 길게 뻗은 부재를 말한다. 크루우저의 경우는 깊게 수중에 들어가 있는 경우도 있다.
킹스턴(Kingston) : 육지에 올렸을 때 배안에 고여 있는 물을 빼내기 위하여 배 밑에 장치된 콕(마개)를 말한다.
태크(Take) : 메인 세일, 지브 세일의 전방의 아래 귀퉁이 부분을 말한다.
태킹(Tacking) : 범주 중의 요트가 뱃머리를 풍상으로 향하도록 해서 바람을 받는 뱃전을 바꾸는 것을 가리키며, 웨어링과는 반대의 회전법이 된다.
태킹 듀얼(Tacking duel) : 한 방향으로 태크하여 상대의 요트를 밀어서 상대의 요트가 피하도록 태크를 반복하는 것.
템피스트 급(Tempest) : 전장 6,70m, 폭 1,97m의 2인승 키일 보트로서 1965년에 국제 요트 경기 연맹으로부터 국제 칭호가 수여되고 1972년 올림픽부터 채용되게 되었다.
토네이도 급(Tonado) : 2인승으로 전장 6m, 폭 3m의 캐터머랜(쌍둥선)으로 1976년의 올림픽부터 경기정으로 채택되고 있다.
트래블러(Traveler) : 대개 메인 시트에 사용되는 것으로서 요트의 가로 방향의 세일의 위치를 조절하는 슬라이딩 장치를 말한다.
트랜섬(Transom) : 선미판. 현외타의 요트에는 핀틀(Pintle)이 붙고 거기에 러더를 꽂고 대개 여기에 요트의 이름을 쓴다.
트러피이즈(Trapeze) : 마스트 상부로부터 양 뱃전으로 나뉘어 이끌린 와이어를 말하며, 강풍으로 요트가 크게 히일(Heel)할 때에 이용된다.
트리머랜(Trimarm) : 3개의 선체로 이루어진 배로서 「3동정」이라 부르며 크로우저로서 많이 사용되고 있다.
틸러(Tiller) : 키를 움직이기 위하여 설치한 손잡이로서 여러 가지의 방향으로 회전하도록 되어 있다.
펄피트(Pulpit) : 크루어저의 바우와 스턴에 붙어 있는 금속제의 선반으로 승무원의 낙수를 방지하기 위한 것.
페어리더(Fair leader) : 요트의 선단에 있는 앵커 로프를 통하게 하는 곳.
펜더(Fen) : 방현재를 말하며, 선체가 다른 배나 물가에 부딪친 때에 파손되지 않도록 사용하는 낡은 타이어 등.
포 스테이(Fore stay) : 뱃머리 쪽에서 마스트의 선단에 설치된 로프를 말하며, 앞으로부터의 힘으로 마스트가 기울지 않도록 설치되어 있다.
포트 택(Port tack) : 좌현으로부터 바람을 받고 있는 상태를 말한다.
푸트(Foot) : 세일의 하변. 즉 부움을 따른 가장자리 전체를 말한다.
푸프 벨트(Foot belt) : 쿠루, 스키퍼가 발을 걸기 위하여 배 안에 장치된 벨트를 말하며 돌연 배가 기울어져도 낙수를 막는 데에 도움이 된다.
푸팅(Footing) : 좋은 속도로 풍상으로 물을 가르며 달리는 것.
프래닝(Planing) : 배의 스피드가 일정 이상이 되면 배는 파도의 위를 활주하게 될 수 있는 것을 말한다.
프로퍼 코스(Proper curse) : 스타트 후 요트가 되도록 빨리(시간적으로) 피니쉬하기 위하여 범주하려고 하는 코스.
프리(Free) : 배가 뒤로부터 바람을 받아 범주하는 상태를 말한다.
플라잉 더치맨 급(Flying Dutchman) : 참조 - FD급.
플리트(Fleet) : 같은 클라스 요트의 소유자의 모임을 말한다.
플리트 레이스(Fleet race) : 2정만이 아니라 여러 척이 동시에 행할 수 있는 레이스.
피크(Peak) : 세일 위의 3각의 뾰족한 부분을 가리키며, 그 부분이 손상되지 않도록 붙어 있는 판자를 「피크 보드」라고 한다.
핀급(Fin) 전장 4.50m, 폭1.51m의 1인승 요트로서 스웨덴 사람에 의해 설계된 것. 1956년부터 올림픽에 사용되고 있다.
핀 키일(Fin keel) : 고정된 센터보드를 말하며, 중심을 낮추기 위해서 아래쪽에 추가 달려 있다.
하니스(Harness) : 크루가 히일을 없애기 위하여 몸을 요트 밖으로 매달 듯이 하지만, 그 때문에 착용하는 갈고리가 달린 반바지와 같은 것.
하이킹 스트랩(Hiking strap) : 배 밖으로 몸을 내밀어 탈 때에 사용하는 발에 거는 로프나 벨트를 말한다.
항로권 : 해상에서 2정이 충돌할 위험을 느꼈을 때 상대에게 피하게 할 수 있는 권리. 「라이트 오브 웨이」라고도 한다.
해치(Hatch) : 크로저 등에서 갑판에 설치된 출입구나 창고의 뚜껑을 말한다.
핼려드(Halyard) : 세일을 끌어올리기 위한 로프를 말하며, 마스트의 상단에 장치된 도르래를 통해서 아래쪽으로 당길 수 있게 되어 있다.
행크스(Hanks) : 스냅 섀클 등과 같이 지브가 끌어올려지는 스테이에 지브의 러프를 연결하는 피팅.
헐(Hull) : 선체를 말한다.
헤드 보드(Headboard) : 리치가 처지지 않도록 메인 세일의 상단에 붙여진 나무나 알루미늄 등의 작은 판.
호우프리스 포지션(Hopeless position) : 풍상을 향해서 또는 바람을 옆에 받고 달리고 있을 때 풍상에 있으면서 풍하정의 후방에 있거나 풍상의 배의 뒤쪽에 있으면 같은 코스를 달리는 한 아무래도 다른 배를 추월할 수 없는 위치에 있음을 말한다.
히브 투(Heave to) : 요트의 뱃머리를 풍상으로 향하고 돛의 조작으로 같은 자리에 멈추는 것.
힐(Heel) : 요트가 옆으로 기우는 것. |
'The Yacht > 용어와 법규' 카테고리의 다른 글
요트 보트 면허 필기시험 문제 (0) | 2010.05.17 |
---|---|
헐(선체) 수에 따른 분류 (0) | 2004.05.19 |
요트의 분류 (0) | 2002.05.22 |
범장 양식에 의한 구분 (0) | 2001.05.31 |
요트의 종류 (0) | 2001.05.23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