거제도 포로수용소에서 유일하게 흔적이 남아 있는 막사 터
통영 동피랑 마을 입구
통영 충렬사
충렬사는 충무공 이순신의 위패를 봉안한 사당으로 임진왜란이 끝난 8년 후인 1606년(선조 39) 제7대 수군통제사 이운룡은 이순신의 차분함과 용의주도함을 동경하는 인물로 사사건건 우치적과 대립한다. 후일 이영남과 함께 이순신의 사람이 된다."
이 이순신 장군의 충절과 위훈을 기리기 위해 어명을 받아 건립한
사당이다.충렬사(忠烈祠) 현판은 현종 임금이 1663년에 내린 사액 현판으로 문정공 송준길이 글씨를 썼다. 1670년에 제51대
수군통제사 김경이 동재와 서재를 지었고, 1681년에는 제60대 수군통제사 민섬이 충렬묘비(忠烈廟碑)를 세웠다. 충렬묘비는 각 면이
평평하게 손질된 길쭉하고 네모진 형태이다. 비문은 1614년 좌의정 이항복이 지었던 여수 ‘이충무공 대첩비’의 비문을 그대로 옮겨 온
것이다.1695년(숙종 21)에 수군통제사 최숙이 경충재를 증축하여 서당을 개설하고 지방민의 자제들을 교육했으며, 같은 해 최숙의
뒤를 이은 통제사 김중기가 숭무당을 창건하고 장교 3인을 차출하여 사무 · 관리를 담당하도록 하는 한편 통영시 산양읍에 소재하는 연대도를
사패지로 받아 전답을 마련하여 사당을 유지할 수 있도록 했다.1795년 정조 임금이 충무공전서(忠武公全書)를 발간하게 하고
어제(御製) 제문을 하사했으며, 1840년에는 이충무공의 8대손 이승권 제172대 수군통제사가 강한루와 영모문을 세웠다.
조선시대
후기인 1868년 대원군이 전국에 서원철폐령을 내릴 때에도 통영 충렬사는 보존하도록 했다.
'Performance' 카테고리의 다른 글
진상무& 감정평가법인 최이사와.... (0) | 2018.02.08 |
---|---|
지중해마을 & 온양 온천 제일호텔으로 피접^^ (0) | 2018.01.23 |
거제도 투어.... (0) | 2018.01.13 |
당진마리나 연말 송년회 (0) | 2017.12.27 |
운동시작..... (0) | 2017.10.29 |
댓글